기술개발 제품의 시범구매제도 홍보를 위해, 중기부는 인포그래픽 기반의 사례 영상도 제작했습니다.
각 제도 흐름, 단계, 참여 효과를 순서도와 아이콘 중심 표현으로 구성해 관심 있는 기업의 이해도를 높였습니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 희망리턴패키지 인포그래픽 영상
소진공은 폐업 경험 및 재도전 지원 정책을 짧고 감성적인 인포그래픽 영상으로 제작했습니다.
예비 폐업자들이나 재창업 의지를 가진 소상공인을 주요 타깃으로, 해시태그 중심의 구조에서 정보와 감성의 균형을 매끄럽게 풀었습니다.
3. 제작 방식 및 전략적 요소
기획 단계 타깃 정의: 소비자, 바이어, 투자자 등 목적에 맞는 씬 구성 핵심 메시지 3가지로 압축. 시각 아이덴티티 설정: 기업 CI와 톤앤매너 반영
제작 단계 스토리보드 작성: 장면별 내레이션과 텍스트, 그래픽 요소 구체화 디자인: 일러스트, 아이콘, 도형을 브랜드 색상 체계로 제작 모션 작업: 움직임은 정보 전달 우선, 스타일은 브랜드 고유성 유지 후반 작업: 간결한 내레이션, 효과음, 배경음악 조합
배포 전략 플랫폼 성격에 따라 길이 조절 (SNS용 3060초, 유튜브용 23분 버전 준비) 제목·설명란에 키워드 삽입 릴스·쇼츠에는 엔드카드(Call to Action)·링크·해시태그 추가
4. 실전 효과 & 기대 성과
인지도 향상 인포그래픽 영상은 ‘한눈에 이해’되기 때문에, 제품·제도의 특징을 단시간 내에 전달합니다.
브랜드 톤 강화 캐릭터·색상·그래픽 스타일이 반복 노출되며 브랜드 인식이 높아집니다.
전환율 증가 실제 수요자(소비자, 중소기업 등)의 경우 정보형 콘텐츠 후 신청·문의로 전환율이 높게 나타납니다.
비용 대비 효과 위 사례들처럼 200~300만 원 정도 제작비로 실사 영상 대비 1/5~1/10 수준으로 비용 절감하면서 높은 품질 확보가 가능합니다.
5. 최신 트렌드 & 주의점
최신 트렌드 AI 지원 그래픽 자동화: Lottie/Figma/Runway ML을 활용해 반복 작업의 효율성과 일관성 강화 디지털 인터랙티브 영상: QR 코드 삽입, 영상 터치 반응 공간 삽입 등으로 긴장감을 높이고 콜투액션 유도 세로형·소리 없는 자막 구성: SNS 자동 재생 특성에 최적화된 폼팩터와 자막 디자인
주의할 점 그래픽 과다가독성 주의: 정보가 많을수록 시청자는 혼란스러워합니다. 브랜드 간 혼동 방지: 템플릿은 유지하되, 중복된 레이아웃은 피해 톤을 구분하세요. 내레이션·자막 동기화: 영상 길이에 비해 정보량이 많으면 핵심이 묻힐 수 있으므로 메시지당 표현을 5초 이내로 제한하세요.
“말이 아닌, 보여주라”
인포그래픽 영상은 이제 중소기업의 기본 홍보 채널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텍스트 기반 설명이 지쳐가는 소비자에게,
“이 제품이 어떤 효과를, 어떻게, 누구에게 주는가”를 20초 만에 정리해 주는 콘텐츠입니다.
중기부·소진공의 사례는 예산과 시간 제약이 큰 중소·소상공인도 정교한 기획, 일관된 비주얼 아이덴티티, 짧고 명확한 메시지만 있다면 충분히 콘텐츠 경쟁력을 획득할 수 있다는 증거입니다. 브랜드를 ‘종일 설명하는 방식’이 아닌